반응형

Technology 69

구당 선생님 말씀 18 | 약리적 작용

18. 약리적 작용자침이 모르핀의 효과보다 100배가 되는 엔돌핀의 분비를 자극시킨다. 이에 비해 뜸(灸)은 60~70℃의 가벼운 화상(火傷)을 입히게 되면 화상(火傷)에서 나온 독소인 ‘시스토스키닌’이 체내에 흡수되면 뇌 전도작용 및 뇌에 변화를 유발하여 당대사를 조절하게 한다는 보고가 있다. 또한 뜸(灸) 딱지(검은 딱지) 밑에 생기는 노란 물질이 ‘이종(異種) 단백질’(≠하얀 단백질)으로서 뜸으로만 만들어지는 물질이다. ‘이종 단백질’은 뜸을 크게 뜨거나 기타 화상으로는 만들어지지 않는다. 즉, 인체에 이로운 화상은 미립대, 혹은 반미립대의 쑥에 의한 것이다. 구당 선생님 강의 중

Technology/Medical 2025.06.07

구당 선생님 말씀 15 | (뜸의) 온도와 ‘3년’의 관계

15. (뜸의) 온도와 ‘3년’의 관계1. 일본 연구 : 끓는 물이 한방울 튀기면 물집이 생기기도 하나 3년 묵힌 것은 70-80°C로물집이 안 생긴다. 뜸의 재료로 나뭇잎, 솜 등 수많은 물질을 연구한 결과 3년 묵은 쑥만이 열도가 낮고 완전 연소되었다 (나머지는 타다 꺼져 버리거나, 열도가 높았다. 또한 햇쑥 역시 화상이 생겼다).2. 흑룡강성에서 강의를 할 때 그쪽 사람들에게 “예전 만주에서 灸를 가장 많이 시술하였는데 왜 안하느냐?”고 질문을 던졌다. 그들은 “하긴 한다. 햇쑥으로 하는데 암유발할까봐 꺼린다.”고 답변했다. 나는 “황제내경의 3년 묵은 쑥을 안하니 엉터리다.”라고 말해 주었다.구당 선생님 강의 중

Technology/Medical 2025.05.24

구당 선생님 말씀 14 | (뜸의) 지속시간

14. 지속시간1. 藥(약): 일반적으로 하루 3번, 즉 8h에 자극이 지속 되고 배출.2. 鍼(침): 빠른 것이 24h, 길면 1주일까지 효력 지속.3. 灸(뜸): ‘100날 간다’는 옛말이 있다.일본의과대학의 실험에서 쑥을 뜨기 전과 뜬 후의 약효를 측정해 보았더니, 뜨고 난 후 일주일까지는 7배의 효과가 계속 증가하였고, 약효가 완전히 떨어지는 것이 총 13주 걸렸다. 즉, 일주일은 정비례하여 증가하고 2주부터 13주까지는 완만히 감소한 것이다. 따라서 자극의 지속기간이 긴 灸(뜸)가 만성 고질병에 효과가 있는 것이다. 灸(뜸)가 久(오랠 구)와 火(불 화)로 이루어졌듯이 ‘불이 오래 지속된다’는 것으로 이치가 맞는 이야기다.밥 먹을 때 한번에 한 공기가 들어가는 것이 아니듯, 灸(뜸) 기운이 조금..

Technology/Medical 2025.05.2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