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 지속시간


1. 藥(약): 일반적으로 하루 3번, 즉 8h에 자극이 지속 되고 배출.


2. 鍼(침): 빠른 것이 24h, 길면 1주일까지 효력 지속.


3. 灸(뜸): ‘100날 간다’는 옛말이 있다.

일본의과대학의 실험에서 쑥을 뜨기 전과 뜬 후의 약효를 측정해 보았더니, 뜨고 난 후 일주일까지는 7배의 효과가 계속 증가하였고, 약효가 완전히 떨어지는 것이 총 13주 걸렸다. 

즉, 일주일은 정비례하여 증가하고 2주부터 13주까지는 완만히 감소한 것이다. 

따라서 자극의 지속기간이 긴 灸(뜸)가 만성 고질병에 효과가 있는 것이다. 

灸(뜸)가 久(오랠 구)와 火(불 화)로 이루어졌듯이 ‘불이 오래 지속된다’는 것으로 이치가 맞는 이야기다.

밥 먹을 때 한번에 한 공기가 들어가는 것이 아니듯, 灸(뜸) 기운이 조금씩 조금씩 들어갈 때 효과가 조금씩 지속되어 나타나는 것이다.

한두번에 낫는다면 왜 뜸을 뜨겠는가?

첫술에 배는 부르지 않는다. 


구당 선생님 강의 중

7. 灸(뜸) 장점


1. 고질병

2. 자가 치료

3. 비용이 저렴 : 2,000원 (2009년 기준, 5000~9000원 2025년기준)이면 2달을 뜨게 된다.


4. 자침시 부작용인 훈침이 없다. 금침혈이 많은 반면 뜸은 乳, 神闕, 顔面, 生殖器, 委中 등 몇 개에 불과하다.


5. 머리카락 타는 것은 신경 쓰지말 것. 모근은 절대로 상하지 않는다. 김선생님은 평생 百會를 떴으나 오히려 더 촘촘히 나온다.


6. 직접구시 침구의 동시 시술이 간단하다.


7. 좀 크게 떠 고름이 나오게 되면 양의들은 호들갑을 떠나 일본의 한 실험에서 쑥에 의한 뜸자리에 일부러 세균,이물질을 주입하였더니 균이 뜸자리에는 오래 버틸 수가 없어 고름이 나도 탈이 없었다. 

또한 옛날에는 더 크게 떴다. 

뜨겁고, 고름이 나와야 쑥기운이 들어가서 치유되는 줄만 알았기 때문에 그 습관이 내려져 왔다. 

크기의 종류로는 半米粒大, 米粒大, 絲狀大, 깨알크기, 쥐똥크기, 콩알크기, 彈子大(牛黃淸心丸 크기의 옛 총알크기) 등 다양하다. 

결국 실같이 작께 떠도 효과가 있는 줄 알게 되었으니, 크게는 뜨지 않으나 예전 분들은 크게 떠달라고 한다. 

이 때 크게 떠서 고름이 나와도 해가 없고 또, 더 빨리 낫는 것도 아니다.


구당 선생님 강의 중

《황제내경·영추·관능편(官能篇)》에 나오는 구절:

「凡灸之道,必以陳艾。陳者,其氣純,其火温,無暴烈之性,得以調其氣血。」

"무릇 뜸을 놓는 도는 반드시 묵은 쑥(陳艾)을 써야 한다. 묵은 것이란, 그 기운이 순수하고, 그 불이 따뜻하며, 사나운 성질이 없어 기혈을 조절하는 데 적합하다."


《침구대성(鍼灸大成)》과 같은 명나라 시대의 의학서에서는

'3년 묵은 쑥'을 사용할 것을 권장하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전통적으로 황제내경에서 말하는 ‘3년 묵은 쑥(陳艾)’을 사용하는 직접구의 취지를 현대 공정에 반영하려면, **숙성 → 분쇄(milling) → 체질(sifting)**의 순서가 가장 이상적입니다.

  1. 쑥 원재료 채집 및 1차 건조
    • 봄 또는 가을에 수확한 쑥을 통풍이 잘 되는 그늘에서 자연건조.
    • 이때 건조 후에도 정유 성분과 수분이 일부 남아 있습니다.
  2. 숙성(진애 과정) – 3년 이상 보관
    • 서늘하고 건조한 환경에서 2~3년 이상 보관.
    • 이 과정에서:
      • 휘발성 성분의 자연적인 감소 및 안정화,
      • 향의 순화,
      • 자극성 성분의 소실,
      • 연소 안정성 증가.
    • 용기는 한지 포장이나 황토 항아리, 나무통 등 통기성이 있으면서 벌레를 막을 수 있는 형태가 좋습니다.
  3. 분쇄(Milling)
    • 숙성된 쑥을 분쇄하여 섬유질과 입자를 고르게 만듦.
    • 이 단계에서 정유 성분이 덜 날아가고 온화하게 유지됩니다.
  4. 체질(Sifting)
    • 다단계 체질로 섬유질, 먼지, 이물질 제거.
    • 뜸에 적합한 입자 크기의 쑥뜸(艾絨)을 얻을 수 있습니다.
    • 고운 고운 쑥뜸은 특히 직접구(艾炷灸), 약간 굵은 것은 간접구 또는 왕뜸에 적합합니다.

현대 공정 (dryiing, milling, sifting)에서 빠질 수 있는 것: “숙성 과정에서 일어나는 주요 화학적 변화

  1. 揮發油(정유)의 안정화 및 선택적 휘발
  • 숙성 중에 가장 큰 변화는 **揮發油(VOCs, 휘발성 유기 화합물)**의 변화입니다:
  • 시네올, 투존 등의 고휘발성 물질은 수확 후 수개월 안에 일부 자연 휘발합니다.
  • 특히 **투존(thujone)**은 신경자극성이 있는 성분으로, 과다 노출 시 자극이 강해집니다.
  • 숙성 과정에서 투존의 함량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감소하며, 더 순화된 연소 특성을 유도합니다.
  • 보르네올(borneol) 같은 성분은 안정적이면서도 온화한 자극을 남깁니다.

👉 결과적으로 자극적인 성분이 줄고 부드럽고 따뜻한 성분이 남는 것이 숙성의 핵심 효과입니다.

2. 산화 및 중합 반응

  • 일부 정유 성분은 공기 중 산소와 반응하여 **산화(Oxidation)**를 겪습니다.
    • 이 과정에서 자극성이 낮은 산화유로 바뀌거나, 중합(polymerization)되어 연소에 잘 타지 않는 고분자 형태로 변하기도 합니다.
    • 예: 투존 → 산화 투존 (less active form)
  • 이러한 산화는 자극성을 줄이고, 연소시 고르게 타며 잿빛 잔재가 남는 특징을 만들어냅니다.

3.  습기 제거 및 수분-지질 균형 안정화

  • 장기 보관 중 쑥 내부의 수분이 자연적으로 배출되며, 내부 지질 구조가 안정됩니다.
  • 그 결과:
    • 쑥이 가볍고 솜처럼 부드러워짐
    • 점화 시 연소가 천천히 진행되고 일정한 온도곡선 유지
    • 화상의 위험이 줄어들고, 심부열을 유도하는 깊은 온감이 생성됨

 (4) 향기 성분의 전이 및 숙화

  • 쑥 향의 주요 성분인 cineole, borneol 등은 숙성되며 톤이 낮아지고 순화된 향으로 바뀝니다.
  • 쑥의 신선한 풀냄새에서, 묵직하고 은은한 약초향으로 변하며, 이는 임상에서 매우 중요한 차이입니다.
  • 냄새로 자극받는 환자 반응이 줄고, 이완 유도 효과가 증가합니다.

[위암 치료]

사례 1 

50대 환자로 후두부에 돌출물이 있었다. 

"독이 있어서 나온 것입니다. 뽑아내는 것이 좋습니다. 뜸을 뜨면 나올 수 있는 것이 다 나오고 낫습니다."

환자가 말했다. 

"혀가 나쁩니다."

"혀는 심장과 통합니다. 혀를 치료하자면 심장을 치료하면 되지요."

또한 선생은 환자의 피부색과 살갗을 보고 암이 있다는 것을 알아차린 모양이었다. 똑바로 눕혔을 때 배를 만져보고 암이 있는 것을 발견하여 거기에 침을 놓아보고 말했다. 

"확실하군요. 음에 있는 것은 꼭 양에 나타나거든요1). 당신은 암이 있습니다. 암이 있어도 놀랄 것은 없어요. 뜸으로 낫습니다."

중완의 왼쪽 1촌 5분인 곳을 만지며 양문에 뜸을 떳다2). 양문은 암에 효과가 있다. 구혈은 모두 다음과 같다. 

신주, 노수3), 심수, 비수, 신수, 차료, 중완, 거궐, 좌양문, 좌양지, 곡지, 족삼리, 태계. 

"노수는 소장경에 속하며 심경과 표리의 관계다. 그리고 노수의 심수는 대개 같은 높이의 수평선상에 있다."

 

사례 2

다음과 같이 취혈했다. 

신주, 노수, 심수, 간수, 근축, 비수, 신수, 차료, 중완, 우양문, 곡지, 족삼리, 태계. 

이 환자는 암이 오른쪽에 있었다. 선생은 암이 있는 기색을 알아채고 그곳에 침을 놓아보았다. 침이 어느 정도 들어가고는 단단한 것에 닿아 더 들어가지 않는 것을 보고 암이라고 진단했다. 그때 침병을 손끝으로 두드려 보이며 설명했다. 

"이 정도 깊이에서는 보통 힘을 들이지 않아도 더 들어가는데, 이렇게 두드려도 들어가지 않는 것은 암이 있다는 표시다."

다음과 같은 이야기도 덧붙였다. 

"어떤 사람을 화장했을 때 아무리 해도 타지 않는 돌 같은 덩어리가 남았다. 그 위에 뜸을 반복하여 떠보았더니 가운데부터 녹기 시작하여 뜨는 동안에 겉만 남고 끝내 녹아버렸다. 쑥이라는 것은 실로 불가사의한 것으로, 덩어리를 깨는 힘이 있는 것 같다. 이것을 보면 단단한 암종 덩어리도 뜸의 힘으로 부서지고 녹아버리는 것 같다."

 

1) internal condition (yin) appears on superficial surface such as skin and it's external (yang)

2) ST21(양문) is actually 2 cuns lateral from Ren12(중완)

3) SI1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