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Technology/Medical 18

[경락경혈학] 12경락의 운행 순서 및 외우시는 방법입니다.

외우는 방법월-화-수-목-금-토-일은 1주입니다.여기서 오행은 목-화-토-금-수 5개 입니다. 7일에서 5를 빼어 일,월(해와 달)을 뺍니다.화-수-목-금-토 의 순서밖에 안남습니다.경락의 처음 순서가 폐경(금)부터 시작합니다. 순서를 재조정해서 화수목금토를 폐경인 금부터 다시 나열합니다.금-토-화-수-목 이 됩니다. 예를 들어, 금 에는 장부(장=폐경, 부=대장경) 각 음과 양으로 배열되어 2개씩 배열됩니다.이렇게 되면 총 10개 경락이 됩니다. 여기서, 6장 6부 12경락 중에 2개인 심포와 삼초(상화)를 추가합니다.어디다 집어넣냐면, 수와 목 사이에 집어넣습니다. 수에서 목으로 넘어갈때 무리가 없도록 상화의 기운이 조절해줍니다.그럼 다시 순서가 금 - 토 - 화 - 수 -..

Technology/Medical 2009.05.04

[침뜸의학개론] 삼인중 외인 : 질병의원인 육음 (풍한서습조화)

질병의원인, 풍한서습조화 서양의학에서는 질병의 원인을 세균이나 바이러스에서 찾기도 하고, 활성산소의 영향으로 설명하기도 합니다.이에 반해 한의학에서는 건강한 인체와 질병의 발병상태의 상관관계를 정기(正氣)와 사기(邪氣) 사이에 벌어지는 끊임없는 싸움의 과정으로 파악합니다. 정기(正氣)란 내부 장기와 기혈의 순환통로인 경락계통에서 일어나는 기능 활동과 질병에의 투쟁능력을 말하며, 사기(邪氣)는 이 기능계통에 문제를 일으키는 내ㆍ외부적으로 발생하는 여러 가지 환경 인자를 말합니다. 즉 한의학에서는 정기가 체내에 잘 보존되어 있으면 사기가 침입하지 못하고, 사기가 인체를 침범한 경우 그 사람의 정기는 허약한 상태에 있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입니다. 이처럼 질병을 일으키는 원인을 한의학에서는 사기(邪氣)라고..

Technology/Medical 2009.05.04

[경락경혈학] 장부의 유주시간

1. 폐 → 새벽 3시 ~ 5시이 시간에 활동하면 기관지가 나빠진다.공부를 하면 좋은 효과가 있다 (오행 중 금속, 평안한 마음 상태) 그외, 예를 들어 스님들이 기관지가 나빠 지는 이유 - 새벽 마당 빗질 중에 차갑고 습한 공기가 폐를 상하게 함새벽 찬송가를 부르다보면 폐의 기운이 좋아져 다른 질병을 낳게 하는 경우) 2. 대장 → 새벽 5시 ~ 7시대장을 비워야 한다.이 시간에 비우지 않으면 변비가 생긴다. 3. 위장 → 아침 7시 ~ 9시아침식사, 만약 정기적인 식사를 하지 않으면 위산과다로 위궤양 발생. 1주일에 한번 정도 잣, 호두,땅콩을 갈아서 죽을 먹으면 머리가 좋아지고 치매예방 4. 비장 → 오전 9시 ~ 11시활동을 하여야 함 (청소, 빨래 등) 만약 하지 않으면 비만의 원인이 된다. 5..

Technology/Medical 2009.05.04

[경락경혈학] 십이경락의 오수혈

경맥(經脈)木火土金水木火土수태음폐경(手太陰肺經)소상(少商)어제(魚際)태연(太淵)경거(經渠) 척택(尺澤)---수양명대장경(手陽明大腸經)---상양(商陽)이간(二間)삼간(三間)양계(陽谿)곡지(曲池)족양명위경(足陽明胃經)---여태(여兌)내정(內庭)함곡(陷谷)해계(解谿)족삼리(足三里)족태음비경(足太陰脾經)은백(隱白)대도(大都)태백(太白)상구(商丘)음릉천(陰陵泉)---수소음심경(手少陰心經)소충(少衝)소부(少府)신문(神門)영도(靈道)소해(少海)---수태양소장경(手太陽小腸經)---소택(少澤)전곡(前谷)후계(後谿)양곡(陽谷)소해(小海) 족태양방광경(足太陽膀胱經)---지음(至陰)족통곡(足統谷)속골(束骨)곤륜(崑崙)위중(委中)족소음신경(足少陰腎經)용천(湧泉)연곡(然谷)태계(太谿)복류(復溜)음곡(陰谷)---수궐음심포경(手厥陰..

Technology/Medical 2009.05.04

[경락경혈학] 몸안의 나쁜기운 없애고 혈액 순환을 도와주는.독맥 · 임맥 호흡

인체 내 기운의 통로인 경락이 그 기능을 제대로 발휘하려면 척추를 따라 물기운이 올라가는 독맥과, 입에서 항문까지 복부를 따라 화 기운이 내려가는 임맥이 제대로 통해야 한다. 따라서 독맥과 임맥의 흐름을 정상화 시키는 것은 인체의 건강 유지라는 측면에서 중요하다. 어혈형 비만 유형의 사람들은 주로 꼬리뼈 부근에 기운의 흐름이 뭉쳐 있고 누르면 시큰하다는 통증을 호소하는데, 이것은 아랫배의 단전(丹田,배꼽 세치 아래의 부위로 정기가 모이는곳)이 기능을 제대로 이행하지 못하고, 인체 중요한 경락인 임맥과 독맥의 흐름이 막혀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독맥 호흡과 임맥 호흡을 통해 뭉쳐 있는 기의 흐름을 원활히 함은 물론 어혈을 없애고 건강도 찾을수 있다. 독맥호흡 독맥이란 인체의 물 기운이 올라가는 길로, 척추..

Technology/Medical 2009.05.04
반응형